Page 29 층간소음 예방교육 _ 교사용 지도서
P. 29
27
층간소음 예방교육 교사용 지도서
1) 소음을 시끄러운 소리 로 표현하기보다는 불편한 소리 로 표현하고, 소리를 모두 소음
‘
’
‘
’
으로 인식하는 오개념이 없도록 주의하여 지도한다.
2) 같은 소리도 시간, 장소, 상황에 따라 아름다운 소리 와 불편한 소리 로 나눌 수 있다는
‘
’
‘
’
것을 전달한다.
3) 소리를 통해 감정변화가 올수도 있고, 소음으로 인해 상대방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안내한다.
활동 시 유의점
1) 아름다운 소리와 불편한 소리를 구분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2)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층간소음 예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활동평가
1) 모둠별로 역할(층간소음을 일으키는 쪽, 층간소음 피해를 받는 쪽)을 나누어 역할
놀이를 한다.
2) 주변의 이웃을 배려하는 마음을 느끼고 그림편지를 쓴다.
확장활동
층간소음 예방교육 교사용 지도서
1) 소음을 시끄러운 소리 로 표현하기보다는 불편한 소리 로 표현하고, 소리를 모두 소음
‘
’
‘
’
으로 인식하는 오개념이 없도록 주의하여 지도한다.
2) 같은 소리도 시간, 장소, 상황에 따라 아름다운 소리 와 불편한 소리 로 나눌 수 있다는
‘
’
‘
’
것을 전달한다.
3) 소리를 통해 감정변화가 올수도 있고, 소음으로 인해 상대방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안내한다.
활동 시 유의점
1) 아름다운 소리와 불편한 소리를 구분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2)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층간소음 예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활동평가
1) 모둠별로 역할(층간소음을 일으키는 쪽, 층간소음 피해를 받는 쪽)을 나누어 역할
놀이를 한다.
2) 주변의 이웃을 배려하는 마음을 느끼고 그림편지를 쓴다.
확장활동